합리주의

합리주의는 모든 판단에 최대한 이성적이려는 것, ‘충동과 욕구에 바탕을 둔 태도, 신앙주의를 비롯한 종교적 사고방식, 회의 없는 맹신’과 대립되는 대표적인 철학이자 관념이며 이성론이나 합리론이라고도 칭합니다.

 

합리주의

 





 

 

 

합리론

합리주의는 근현대 철학의 핵심이고 대개 옳지만만능은 아닙니다. 인간이 완전한 이성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의 이성적 태도가 언제나 약간의 오류도 없이 논리적으로 무결하다고는 볼 수 없기 때문이며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를 쓴 심리학자 존 브래드쇼는 합리주의가 우리가 감정을 표출하는 걸 막았고, 거기서 내면의 아이가 상처받았으며, 나중에 컸을 때 여러 문제를 일으키는 등의 행동을 보이는 원인이 되었다고 비판했습니다.

인식론에서 합리론(영어: rationalism), 합리주의 또는 이성주의는 이성을 지식의 제일의 근원으로 보는 견해를 말합니다. 합리론에서의 진리의 기준은 감각적인 것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연역적인 방법론이나 이론으로 정의됩니다. 합리론자는 우리의 개념과 지식이 감각적 경험에서 독립하여 얻어지는 방법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경험론자는 감각적 경험이야 말로 우리의 개념과 지식의 궁극적인 원천이라고 주장합니다.

오랜 논쟁에서 합리론은 경험론에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며, 합리론자는 실제는 본질적으로 논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합리론자들은 어떤 진리는 존재하며, 지성은 이러한 진리를 직접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즉, 합리론자들은 근본적으로 참인 어떤 이성적인 원칙이 논리, 수학, 윤리학, 형이상학에 존재하며, 이를 부정하는 자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고 주장하였고, 합리론자들은 이성에 매우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어서 경험적인 증거나 물리적인 증거는 진리를 획득하는 데에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하였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의 개념과 지식이 감각적 경험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얻어지는 두드러진 방법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이나 이론을 강조하는 정도의 차이는 “지식을 획득하는 다른 방법에 비해 우월함을 가지고 있다”는 온건한 입장부터 이성은 “지식을 향한 유일한 길”이라는 극단적 입장까지 다양한 합리주의적 관점을 낳았고, 전근대의 이성에 대한 이해를 고려할 때, 합리론은 소크라테스의 질문하는 생애나 권위에 대한 회의주의자의 명쾌한 해설로서의 철학 그 자체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치에서 계몽주의 이래로 합리론은 공화주의, 세속주의, 무종교 (종교적 또는 무종교적 이념에 관계 없이 실현 가능한 다원론적 합리주의 방법론의 공리주의를 적용하여 수정된 후기 양상의 반신론)에 집중된 “이성의 정치”를 강조하였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철학자 존 커팅햄(John Cottingham)은 방법론으로서의 합리주의가 세계관으로서의 무신론과 어떻게 융합되었는지를 강조하였습니다.

과거에 특히 17세기와 18세기에 합리론자라는 용어는 종종 반성직자적인, 반종교적인 관점을 가진 자유로운 사상가를 말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이 단어는 뚜렷하게 경멸적인 의미를 얻었습니다.  초자연적인 것을 위한 공간이 없는 세계관을 특징짓기 위하여 합리주의자라는 딱지를 사용하는 것은 오늘날 더욱 흔하지 않게 되었고, 인본주의자나 유물론자같은 용어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합리론자 중 제일 유명한 사람으로는 르네 데카르트, 경험론자 중 제일 유명한 사람으로는 존 로크나 데이비드 흄이 있습니다. 흔히 합리론의 계보는 데카르트에서 스피노자로 이어지고, 니콜라 말브랑슈를 거쳐 라이프니츠에서 정점을 찍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셸링, 헤겔 등 이후 철학자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합리론의 계보를 잇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